본문 바로가기
2024 C언어 강의

2강 C언어 - printf 함수로 출력하기 (%d가 무엇일까?)

by 여름코딩 2024. 3. 6.
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월드입니다.

 

이번주는 대학생들에게는 개강주겠네요.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친구들과 같이 공부하고 오랜 시간 과제를 하게 될거라 설레일 것 같습니다.

 

다들 첫 날은 어떠셨나요?

 

즐거운 경험이었길 바라며 오늘의 강의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printf 함수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printf로 문자열 출력하기

 

1강에서 printf 함수를 활용해서 함수 내에 입력한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1강을 읽어보지 않으신 분들 또는 printf 함수가 처음인 분들을 위해 간단히 복습하고 지나가겠습니다.

printf("Welcome to Fantasy coding world!");
 

이렇게 작성하면 큰 따옴표 안의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게 됩니다.

Welcome to Fantasy coding world
 

출력 결과입니다.

 

printf 함수의 활용법 중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것은 큰 따옴표 안에 출력 할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과 함수 마지막에 ';' 문자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예시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printf("Hi, Nice to meet you!");
 
Hi, Nice to meet you!
 

이렇게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f 함수는 큰 따옴표 내부에 입력한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데, 변수에 저장한 문자나 숫자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2. printf 함수 - %d가 무엇일까?

 

printf 함수를 공부하던 중 '%d', '%f', '%s' 등의 문자를 보셨을겁니다.

 

이 문자는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문자를 작성한 위치에 출력하기 위해 활용합니다.

 

예제 코드를 바로 보겠습니다.

int num1 = 1;
int num2 = 2;

printf("%d 더하기 %d 는 %d", num1, num2, num1+num2);
 
1 더하기 2 는 3
 

변수 num1과 num2에 각각 1과 2라는 숫자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변수에 대한 개념은 자세히 다루겠지만, 여기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num1에는 1을 저장하고, num2에는 2를 저장했습니다.

 

printf 함수에서는 num1과 num2가 출력될 부분을 '%d'라고 대신 표현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d'는 10진수를 대신할 수 있는 문자입니다.

 

만약 소수 등이 있는 실수를 출력하고자 한다면 '%f'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num1, num2가 표현될 위치에 '%d'를 써주고, 마지막 num1+num2 값이 출력 될 위치에도 마찬가지로 10진수를 출력할 것이기 때문에 '%d'를 작성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미리 작성한 문자들 사이에 각 값이 대신 출력됩니다.

 

예시 코드를 한 가지 더 보겠습니다.

int num = 10;

printf("제 학번은 %d학번입니다.", num);
 
제 학번은 10학번입니다.
 

이해가 되셨죠?

 

변수를 작성해서 printf 함수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번 연습하다 보면 이해가 쉽게 되실거에요!

 


 

오늘은 printf 함수로 문자열과 변수에 저장된 숫자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d' 문자가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고, printf 함수에서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어떻게 작성하는지 꾸준히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