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수형8

C++ 변수를 공부하자 (int, char, float 데이터 타입) 오늘은 변수의 개념을 학습하고 C++의 변수 생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변수 생성을 위해서는 데이터 타입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므로 대표적인 데이터 타입인 int, char, float에 대해서도 함께 공부하자.변수란?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이렇게 설명하면 프로그래밍 언어 입문자는 이해가 어려우므로 예시를 들어보자.박스에 '과일'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사과를 잔뜩 담아보자.그럼 이 '과일' 박스에는 사과가 저장되어 있다.이것을 변수에 대입해보자.변수도 '이름'을 갖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그런데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 공간이 사실 '메모리 공간'인 것이고, 우리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아 이름을 붙이고 이것을 변수라고 부르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int num; 이것.. 2025. 1. 9.
5강 C언어 - 자료형에 대해서 공부하자 (int, float, double, char)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월드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변수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변수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공간을 어떻게 할당 받고,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공부했기 때문에 변수 생성 방법 뿐만 아니라 생성 과정에서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함께 이해가 되었을 겁니다. 오늘은 변수 생성을 위해 우리가 고려해야 하는 자료형, 즉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흔히 int, float, double, char 등의 자료형을 많이 접해보셨을겁니다. 이러한 자료형은 각각 어떤 차이가 있기에 굳이 구분하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형이 무엇일까? 자료형은 데이터의 형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1은 정수.. 2024. 3. 11.
C언어 자료형 공부하기 - int, float, double, long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자료형을 공부하고, 정수와 실수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자료형을 결정하고 변수를 생성합니다. 그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 때 자료형은 저장할 데이터를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숫자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에는 대표적으로 'int형'이 있는데요, 이것은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 실수를 저장한다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int형 int num; num = 3; printf("%d", num); int형 변수 num을 생성하고, 정수 3을 저장했습니다. printf 함수로 출력해보면 아래와 같이 저장한 데이터가 출력됩니다. 3 이번에는 실수를 저장해 보겠습니다. int n.. 2023. 4. 6.
C언어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기 - 실수와 float형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수가 출력되지 않는 이유 먼저 변수를 생성하고 소수를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int num; num = 0.25; int형 변수 num을 생성하고 0.25를 저장했습니다. 이렇게 생성한 변수를 출력해 보겠습니다. printf("%d", num); printf 함수로 num값을 출력하기 위해 큰 따옴표 안에 %d를 작성했습니다. 코드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0 소수점 이하 두자리는 생략되고 0만 출력되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럴까요? 전체 코드를 보면서 수정해 보겠습니다. float num; num = 0.25; printf("%d", num); 2. float형 int형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 2023.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