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C언어로 소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숫자를 저장하는 자료형은 크게 int와 float이 있습니다. int는 정수를 저장하고 float은 실수를 저장합니다. 정수와 실수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두 자료형 모두 숫자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그런데 int형 변수에 실수를 저장하면 원하는 결과를 출력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int형 변수에 3.14를 저장해보겠습니다. 출력 결과는 3이 됩니다. 소수점 아래에 있는 숫자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int형 변수가 '정수'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float형 변수를 활용해야 합니다. float형 변수는 실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의 숫자까지 모두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숫자를 저장할 때는 int형과 float 형을 적절하게 구분해서 활용해야 합니다.
코드를 작성해서 int와 float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nt num1 = 3.14;
float num2 = 3.14;
cout << num1 << endl;
cout << num2 << endl;
이 코드의 출력 결과는 num1은 3을, num2는 3.14를 출력합니다.
int형 변수 num1을 선언하고 3.14를 저장했습니다. 그리고 float형 변수 num2를 선언하고 3.14를 저장했습니다. num1은 int형이기 때문에 정수 범위인 3까지만 저장하고 소수점 아래 숫자는 저장하지 않으므로 출력시 3만 출력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num2는 실수형 변수이기 때문에 3.14를 저장하면 그대로 저장되어 출력시 소수점 아래 숫자까지 모두 출력되어 3.14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동적 할당 / new와 delete / C++ 기초 (0) | 2022.12.25 |
---|---|
C++ cin 함수 / 입력 함수 / C++ 공부하기 (0) | 2022.12.22 |
C++ cout / 출력함수 / printf / C++ 기초 (0) | 2022.12.20 |
namespace 가 무엇일까? C++ 기초 (0) | 2022.12.19 |
deque 사용법 / push / pop / 삽입 / 삭제 / C++ 기초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