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수3 C언어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기 - 실수와 float형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수가 출력되지 않는 이유 먼저 변수를 생성하고 소수를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int num; num = 0.25; int형 변수 num을 생성하고 0.25를 저장했습니다. 이렇게 생성한 변수를 출력해 보겠습니다. printf("%d", num); printf 함수로 num값을 출력하기 위해 큰 따옴표 안에 %d를 작성했습니다. 코드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0 소수점 이하 두자리는 생략되고 0만 출력되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럴까요? 전체 코드를 보면서 수정해 보겠습니다. float num; num = 0.25; printf("%d", num); 2. float형 int형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 2023. 4. 3. C++ 오버로딩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C++에는 오버로딩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오늘은 오버로딩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함수 호출 방법 오버로딩 설명에 앞서서 먼저 함수의 생성과 호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를 생성하고 호출하는 것에 익숙하신 분들은 2번으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int plus(int a, int b) { int result = a+b; return result; } 함수 호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 'plus'라는 함수를 생성해 보았습니다. 코드를 잘 모르시는 분도 함수 이름을 통해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유추가 가능하실겁니다. plus라는 이름처럼 덧셈을 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괄호 안의 int a와 int b는 인자를 의미합니다... 2023. 1. 6. C언어 자료형 / int / 정수형 / C언어 기초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개념 중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료형이 무엇일까요? C언어에서는 변수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변수에는 숫자, 문자 등 여러 가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 a에 1이라는 숫자가 저장되어 있다면 2라는 숫자를 다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변수는 숫자를 저장할지 문자를 저장할지 정의할 때 부터 정해야 합니다. int a; char a; 이렇게 무엇을 저장할지 결정하고 정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앞에 적힌 int나 char 같은 단어가 바로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오늘 알아볼 자료형은 'int'형입니다. int형 자료형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1, 10, -100 등 정수를 저.. 2022. 5.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