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Queue4

자료구조 큐(Queue)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큐(Queue)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큐(Queue)란 무엇일까?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입니다. 선입선출이라고도 하며, First In First Out(FIFO)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이 자료구조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데이터 A가 front라는 위치에 있고, F가 rear에 있습니다. front는 자료구조의 가장 앞 쪽을 의미하며, rear는 뒷쪽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A가 가장 먼저 저장되었고, 그 다음 B, C, D, E, F 순서로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front와 rear로 어느 데이터가 먼저 들어왔고 어느 데이터가 늦게 들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큐는 먼저 .. 2023. 3. 7.
C++ 큐(queue) 공부하기 / First In First Out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큐에 대해서 공부하고 어떤 자료구조인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큐가 무엇일까? 큐란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형태의 자료구조 입니다. First In First Out이라고 하기 때문에 FIFO라는 자료구조로도 자주 불립니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queue q; 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는 헤더파일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queue q 처럼 생성합니다. 여기서 괄호 안의 int는 큐에 저장할 데이터의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뒤의 q는 큐의 이름입니다. 변수 이름을 설정하는 것과 같으므로 편한 이름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2. push와 pop 이번에는 큐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해 보겠습니다. 저장은 pus.. 2023. 2. 21.
C++ queue / 큐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C++의 queue, 큐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큐(queue)가 무엇일까? 큐는 선입선출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순서 리스트입니다. First In FIrst Out이라고도 부릅니다.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큐는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queue q; queue 문구 뒤에 괄호 안에 int형이라고 자료형을 선언하고, q라는 이름을 설정한 것입니다.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설정한 이름을 활용해서 push 명령어로 하면 됩니다. 2. 큐(queue) 활용하는 방법 큐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헤더 파일을 추가해야 합니다. 아래에 큐를 활용하는 전체 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include #include usin.. 2023. 1. 26.
deque 사용법 / push / pop / 삽입 / 삭제 / C++ 기초 안녕하세요 판타지 코딩입니다! 오늘은 dequ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deque는 queue와 비슷한 개념이어서 push, pop 으로 데이터를 삽입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앞, 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지울 수 있는 기능인 push_back, push_front 등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1. queue 먼저 queue를 선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queue q; 가장 앞에 queue를 선언하고, 안에 큐에 저장할 데이터의 자료형을 적고 마지막으로 큐의 이름을 작성합니다. q.push(1); push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q.pop(); pop을 하면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그런데 queue는 선입 선출이라는 특성이 있으므로 가장 먼저 push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pop 하.. 2022.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