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C언어 강의

C++ 연산자 활용하기, 증감연산자 (+, -, *, /, ++, --)

by 여름코딩 2025. 1. 20.
반응형

오늘은 C++의 연산자를 공부하자.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사용하는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위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위한 기호들이다.

거기에 증감연산자인 ++와 --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도 공부해 보자.



연산자란?

C언어와 C++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에는 +, -, *, / 등이 있다.

이것을 흔히 '사칙연산'을 위한 기호라고 하고, 각각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위한 기호이다.

그리고 증감연산자인 ++와 --는 증가와 감소를 위한 연산자인데, 이것 또한 어떻게 활용하는지 공부해보자.

 

덧셈 연산

덧셈 연산에는 '+' 기호를 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A+B를 하면 A와 B의 합이 구해지는 식이다.

cout << 5 + 10 << endl;
15

 

숫자 5와 10을 합하면 15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에는 변수끼리의 합을 구해보자.

int num1 = 1;
int num2 = 5;

cout << num1 + num2 << endl;

 

num1과 num2에는 각각 1과 5가 저장되어 있다.

num1 + num2는 자연히 1 + 5로 해석되어 6이 출력된다.

6

 

합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증감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증감연산자 ++

int num = 1;
num++;
cout << num << endl;

 

++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num에 1을 저장하고, 바로 num++를 수행한 뒤 num의 값을 출력했다.

2

 

1이었던 num의 값이 2가 되었다.

num++는 아래와 같은 코드임을 알 수 있다.

int num = 1;
num += 1;
cout << num << endl;
2

 

1을 더하기 위해서 ++와 +=1을 사용할 수 있다.

 

뺄셈 연산

뺄셈 연산은 '-' 기호로 구현할 수 있다.

A-B를 하면 A에서 B를 뺀 값이 나타나는 것이다.

cout << 10 - 5 << endl;
5

 

10에서 5를 뺀 값은 5이므로 5가 출력된다.

 

이번에는 변수끼리의 차를 구해보자.

int num1 = 10;
int num2 = 5;
cout << num1 - num2 << endl;
5

 

num1과 num2는 각각 10과 5를 저장하므로 10 - 5로 치환되어 5를 출력한다.

 

증감연산자 --

그럼 이번에는 증감연산자인 '--'에 대해 알아보자.

int num = 10;
num--;
cout << num << endl;
9

 

num에는 10이 저장되어 있고, num--을 실행하면서 1이 작아졌다.

이것은 곧 아래의 코드와 동일하다.

int num = 10;
num -= 1;
cout << num << endl;

 

num-=1은 1을 감소시키는 연산이므로 --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9

 

곱셈 연산

곱셈 연산은 곱을 구하는 연산으로 '*' 기호를 사용한다.

A*B를 작성하면 A와 B의 곱이 구해진다.

cout << 10 * 2 << endl;
20

 

10과 2의 곱이므로 20이 출력된다.

 

이번에는 변수와 변수의 곱을 구해보자.

int a = 1;
int b = 3;
cout << a * b << endl;
3

 

a와 b는 각각 1과 3이므로 둘의 곱인 3이 출력된다.

 

나눗셈 연산

나눗셈은 '/' 기호로 나누기를 수행한다.

A/B를 작성하면 A를 B로 나눈 '몫'을 구할 수 있다.

cout << 10 / 2 << endl;
5

 

10을 2로 나눈 결과인 5가 출력된다.

 

이번에는 변수로 변수를 나누어 보자.

int a = 10;
int b = 5;
cout << a / b << endl;
2

 

a와 b는 각각 10과 5로 치환되어 2가 출력된다.

 

여기에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 아래와 같은 코드를 구현해 보았다.

int a = 7;
int b = 2;
cout << a / b << endl;

 

이 연산의 결과는 무엇일까?

만약 3.5라고 생각한다면, a와 b의 데이터 타입을 다시 살펴보자.

이 코드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3

 

7을 2로 나눈 값은 3.5가 맞지만, a와 b는 정수형인 int로 생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3.5가 아닌, 정수부인 3만 출력되는 것이다.


오늘은 사칙연산을 하기 위한 기호인 +, -, *, /를 활용한 연산 방법을 알아보고 코드를 구현해 보았다.

특히 ++와 -- 같은 증감연산자를 활용해 코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했으며, 데이터 타입을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오늘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코드를 구현하는 연습을 해보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