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C++의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에 대해 공부하자.
검색을 통해 예제 코드를 보거나 교재를 볼 때 int, long long, float, double, char 등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이 나왔을 것이다.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과 생소한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고 활용 코드를 작성해 보자.
int (정수형)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int가 있다.
숫자 1, 2, 3, 0, 100 등이 바로 정수이다.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는 취급하지 않을 때 유용하다.
int num = 10;
cout << num << endl;
10
long long (정수형)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long long도 있다.
int형에 넣을 수 없을 만큼 데이터가 크면 long long으로 사용하게 된다.
long long num = 123456789123;
cout << num << endl;
123456789123
1,000억 이상의 숫자를 넣어도 잘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loat (실수형)
float은 실수형 데이터 타입이다.
숫자 1.5, 3.14 등이 바로 실수이다.
소수점 아래 데이터까지 다루기 때문에 유용하다.
float num = 3.14;
cout << num << endl;
3.14
만약 정수형 변수에 이 값을 저장했다면 소수점 아래는 표현되지 않을 것이다.
double (실수형)
실수형 변수에는 float 뿐만 아니라 double도 있따.
처음 C언어를 배울 때에는 double형을 사용할 일이 없어서 굳이 무슨 필요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바로 범위 차이이다.
float은 4바이트로 소수점 이하 7자리까지 표현 가능한데, double은 8바이트로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double a = 7.123456789123456;
printf("%.15f", a);
7.123456789123456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잘 나온다.
char (문자형)
char는 문자형 데이터 타입이다.
한 개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char c = 'A';
cout << c << endl;
A
int 형이나 float 형 같은 숫자형 데이터를 저장할 때와 저장 방식이 다르다.
숫자형은 데이터를 바로 저장했는데, 문자형은 작은 따옴표 안에 작성 후 저장한다.
참고로, 문자형 변수에 여러 개의 문자를 저장 시도를 할 수는 있는데, 마지막 한 글자만 저장되니 유의하자.
정리
오늘은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학습해 보았다.
숫자형은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소수점 이하 데이터를 다루는가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정수형
정수형에는 int, 더 큰 정수를 다룰 때에는 long long을 사용한다.
정확한 범위를 알아보고 적절한 자료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
실수형
실수형에는 float, double이 있다.
각 소수점 이하 7자리, 15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cout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니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아보거나, 위와 같이 printf로 적절한 코드로 작성하는 연습을 하자.
문자형
마지막으로 문자형에는 char가 있다.
1byte 데이터 타입으로 한 개의 문자를 저장 가능하니 참고하자.
'2025 C언어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연산자 활용하기, 증감연산자 (+, -, *, /, ++, --) (0) | 2025.01.20 |
---|---|
C++ string 클래스를 공부하자 (length 길이 구하기, append 문자열 붙이기) (1) | 2025.01.18 |
C++ for, while 반복문 활용하기 (0) | 2025.01.17 |
C++ 다차원 배열을 공부하자 (이차원 배열) (1) | 2025.01.16 |
C++ while 반복문을 공부하자 (for문과의 차이점) (1)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