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파이썬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개의 변수에 저장해서 활용하기 위해 리스트나 튜플 같은 자료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이런 자료형처럼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하고 관리하지만, 데이터에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는 '딕셔너리'에 대한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딕셔너리의 형태와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딕셔너리가 무엇일까?
딕셔너리란 데이터를 key와 value 관계로 짝을 지어서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key를 통해서 value 값을 호출하는 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C언어의 배열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배열은 인덱스로만 호출할 수 있다면 딕셔너리는 인덱스가 아닌 해당 데이터의 이름을 설정해서 그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dictionary1 = {'one' : '1', 'two' : '2', 'three' : '3'}
딕셔너리를 생성한 코드입니다. 'one'이라는 key값에 '1'이라는 value를 짝지웠습니다. '1'을 얻기 위해서 'one'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1'을 호출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ictionary1['one']
'one'은 '1'과 짝지워져 있으므로 '1'이 호출됩니다. 이처럼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0) | 2023.01.19 |
---|---|
파이썬 문자열 길이 구하기 (0) | 2023.01.18 |
파이썬 튜플 공부하기 (0) | 2023.01.16 |
파이썬에서 자주 나는 오류 / 리스트 초기화 방법 (0) | 2023.01.15 |
파이썬 변수나 문자를 출력하는 방법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