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문자열은 변수에 큰 따옴표를 활용해서 저장해주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그럼 그 인덱스를 통해서 첫 번째 문자부터 마지막 문자까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자열을 활용하는 방법과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문자열 생성하는 방법
str = "string 생성하기"
print(str[0])
print(str[2])
print(str[7])
변수 str을 생성하고 큰 따옴표에 저장할 문자열을 저장했습니다. 각 문자는 인덱스를 갖고 있고, print문을 통해서 인덱스로 접근한 문자를 출력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 print문은 str의 0번째 문자를 출력하므로 's'가 출력됩니다. 두 번째 print문은 'r', 세 번째 print문은 '생'을 출력합니다. 이처럼 문자열은 인덱스를 통해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2. 문자열 길이 구하는 법
s = len(str)
코드가 간단하죠? len을 활용해서 str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변수 s에 11이라는 값이 저장됩니다.
그럼 오늘은 문자열을 활용하는 방법과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0) | 2023.01.30 |
---|---|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0) | 2023.01.19 |
파이썬 딕셔너리가 무엇일까? (0) | 2023.01.17 |
파이썬 튜플 공부하기 (0) | 2023.01.16 |
파이썬에서 자주 나는 오류 / 리스트 초기화 방법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