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길이를 구하기 전 리스트를 먼저 하나 생성해 보겠습니다.
arr = [1, 2, 3, 4, 5]
괄호 안에 다섯개의 숫자를 저장했습니다. 리스트에는 5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길이 또한 5개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리스트의 길이가 길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럴 때는 길이를 구하는 함수를 활용하면 됩니다.
2. len 함수 활용하기
arr = [1, 2, 3, 4, 5]
print(len(arr))
리스트 arr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 len의 뒤에 있는 괄호 안에 arr을 작성하고 print함수로 출력해 보았습니다. 출력 결과 5가 출력됩니다. 리스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len 함수로 길이를 구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 될 것입니다. 또한 반복적으로 길이를 구하고 그 길이를 활용해서 다음 코드를 작성해야 할 때 len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arr = [[1, 2, 3], [4, 5, 6], [7, 8, 9]]
print(len(arr))
print(len(arr[0]))
이번에는 리스트 내에 3개의 리스트를 저장했습니다. 각 리스트는 콤마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럼 이 리스트의 길이는 어떻게 될까요?
가장 먼저 arr의 길이를 print함수로 출력해보면 3이 됩니다. len(arr)을 했으므로 arr에 데이터가 몇 개인지를 구하게 됩니다. [1, 2, 3], [4, 5, 6], [7, 8, 9] 이렇게 3개의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길이는 3이 됩니다. 그럼 다음으로 arr의 첫 번째 리스트의 길이를 구해보았습니다. len(arr[0])이므로 [1, 2, 3]의 길이를 구한 것입니다. 그 결과는 3이 됩니다. 1, 2, 3으로 3개의 데이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리스트의 내부에 있는 리스트의 길이까지 구할 수 있습니다. len 함수를 활용해서 반복적으로 데이터의 길이를 구하는 코드를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Recursion Error 해결 방법 (0) | 2023.02.01 |
---|---|
파이썬 리스트와 튜플 (0) | 2023.01.31 |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0) | 2023.01.19 |
파이썬 문자열 길이 구하기 (0) | 2023.01.18 |
파이썬 딕셔너리가 무엇일까?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