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형인 리스트와 튜플을 공부하고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와 튜플
리스트와 튜플은 모두 데이터를 한 개의 변수 안에 여러 개 담기 위해서 활용하는 자료형입니다.
strlist = ["a", "b", "c"]
strtuple = ("a", "b", "c")
리스트와 튜플을 한 가지씩 만들어 보았습니다. 우선 형태는 괄호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콤마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2.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
리스트는 데이터의 저장과 삭제가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튜플은 수정이 어렵습니다.
str1 = [1, 2, 3]
str1.append(1)
print(str1)
리스트를 생성하고 append를 통해서 1을 str1의 뒷 쪽에 추가했습니다. 이 경우 print를 통해서 str1을 출력하면 [1, 2, 3, 1]이 출력됩니다. 이렇게 리스트는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기가 쉽습니다. 또한 데이터의 변경도 가능합니다.
str1 = [1, 2, 3]
str1[0] = 3
이렇게 작성하면 str1의 0번째에 있는 데이터를 3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의 경우 0번째에는 1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1이 3으로 변경됩니다. 이처럼 리스트는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해야 하는 코드에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튜플은 이렇게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자료형을 선택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그럼 오늘은 리스트와 튜플의 활용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자료형, 데이터 타입 알아보기 / type 활용 방법 (0) | 2023.02.04 |
---|---|
파이썬 Recursion Error 해결 방법 (0) | 2023.02.01 |
파이썬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0) | 2023.01.30 |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0) | 2023.01.19 |
파이썬 문자열 길이 구하기 (0) | 202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