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파이썬 상속과 오버라이딩 공부하기

by 여름코딩 2023. 2.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상속과 오버라이딩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파이썬 오버라이딩

 

1. 오버라이딩이란 무엇일까?

오버라이딩이란 상속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부모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가 상속 받고, 부모 클래스의 함수를 자식 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는 것을 바로 오버라이딩이라고 합니다. 개념만 알아서는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예제 코드를 보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class student:
    def func(self):
        print("student 클래스 함수")
        
class teacher(student):
    def func(self):
        print("teacher 클래스 함수")

student 클래스와 teacher 클래스를 생성했습니다. student 클래스를 teacher 클래스에 상속했으므로 teacher 클래스는 student 클래스의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student 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이고, teacher 클래스가 자식클래스가 되었습니다. 

 

student 클래스와 teacher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고 각 클래스의 함수를 호출해 보겠습니다.

 

studentClass = student()

studentClass.func()

teacherClass = teacher()

teacherClass.func()

실행 결과 각 클래스의 함수가 호출됩니다.

student 클래스 함수

teacher 클래스 함수

student 클래스의 func 함수와 teacher 클래스의 func 함수가 다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바로 오버라이딩이라고 합니다. student 클래스의 함수를 teacher 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여 새로운 기능을 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상속과 오버라이딩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