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파이썬 디폴트 매개 변수 공부하기

by 여름코딩 2023. 2.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디폴트 매개 변수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디폴트 매개 변수

 

1. 매개 변수가 무엇일까?

디폴트 매개 변수를 공부하기에 앞서 매개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개 변수란 함수의 인자로 받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함수 예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func(num1, num2):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func 함수의 매개 변수로 num1과 num2가 있습니다. num1과 num2 값을 넣어 주면 두 값을 합해서 result에 저장하여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여기서 num1과 num2가 바로 함수를 실행시키는데 활용하는 매개 변수입니다. 이 코드에서는 이 값이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함수 실행시 임의로 값을 주게 됩니다. 값을 주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func(1, 2)

 

num1과 num2가 있던 자리에 각각 정수 1과 2를 넣었습니다. num1은 1, num2는 2가 되어 합하고, result에 3을 저장하고 반환합니다. 위 함수 실행 결과는 3이 반환됩니다. 

 

func(1, 3)
func(10, 20)

 

다른 값을 인자로 넣어 보았습니다. 첫 번째 함수 호출은 num1에 1, num2에 3이 저장되어 실행 결과 4를 반환합니다. 두 번째 함수 호출은 num1에 10, num2에 20이 저장되어 실행 결과 30이 반환됩니다.

 

매개 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디폴트 매개 변수 생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디폴트 매개 변수란?

 

디폴트 매개 변수는 함수 생성시 값을 설정하여 함수 호출시 인자값을 주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설정값을 매개 변수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func(num = 1):
    return num

 

func 함수의 매개 변수로 num을 생성했고, num에 1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func()

 

함수 호출시 인자값을 넣지 않더라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함수 생성시 설정한 값이 적용되어 이 함수는 1이 반환됩니다.

 

func(2)

 

이번에는 인자 값으로 2를 넣었습니다. 매개 변수 num에 1이 저장되어 있지만, 이렇게 값을 직접 주면 이 값이 num에 저장되어 함수가 실행됩니다.

 

이처럼 디폴트 매개 변수는 함수 생성시 미리 값을 설정하고,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 값을 주지 않으면 해당 값으로 함수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만약 인자 값으로 새로운 값을 넣더라도 해당 값으로 함수가 실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