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40

C++ ostream에 대해서 공부하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C++의 ostream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ostream이 무엇일까? C++로 코드를 작성할 때 가장 먼저 추가하는 헤더파일이 바로 'iostream'입니다. iostream은 입출력을 위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 추가하는 헤더파일입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입출력 함수가 바로 std::cin과 std::cout입니다. 그럼 ostream은 무엇일까요? ostream은 출력을 위한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에 바로 출력 함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ostream을 활용하여 출력 기능을 코드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stream& operator 2023. 3. 9.
C++ 템플릿(template)에 대해서 공부하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C++ 코드를 보다 보면 template 라는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템플릿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템플릿(template)이 무엇일까? 템플릿은 반환형이나 자료형을 정하지 않고 typename이라고 선언한 단어로 대체하여 상황에 따라서 알맞은 자료형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코드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template T func(T a, T b) { T result = a + b; return result; } 가장 위에 template 라는 코드를 작성해서 T라는 알파벳을 반환형과 자료형 대신 활용하도록 했습니다. func 함수의 반환형이 위치해야 할 곳에 'T'가 있고, 인자 a와 b의 자료형이 있어야 할 곳에 'T'가.. 2023. 3. 8.
자료구조 큐(Queue)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큐(Queue)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큐(Queue)란 무엇일까?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입니다. 선입선출이라고도 하며, First In First Out(FIFO)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이 자료구조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데이터 A가 front라는 위치에 있고, F가 rear에 있습니다. front는 자료구조의 가장 앞 쪽을 의미하며, rear는 뒷쪽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A가 가장 먼저 저장되었고, 그 다음 B, C, D, E, F 순서로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front와 rear로 어느 데이터가 먼저 들어왔고 어느 데이터가 늦게 들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큐는 먼저 .. 2023. 3. 7.
자료구조 스택(Stack)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자료구조 스택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스택(Stack)이란 무엇일까?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방식으로 LIFO(Last In First Out)라고 합니다. 바로 후입선출이라고도 부릅니다. 위 그림에서 데이터 A가 가장 먼저 들어가고, 그 뒤로 B, C, D 순서로 저장되었습니다. 이것은 A가 가장 먼저 들어가고 D가 마지막에 들어간 것입니다. 마지막에 들어온 D는 가장 위에 있으므로 꺼내기도 수월해 보입니다. 그래서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가장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마지막에 나오는 구조가 됩니다. 이처럼 스택(Stack)은 가장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마지막에 나오고,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 2023.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