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언어56

C언어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기 - 실수와 float형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소수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수가 출력되지 않는 이유 먼저 변수를 생성하고 소수를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int num; num = 0.25; int형 변수 num을 생성하고 0.25를 저장했습니다. 이렇게 생성한 변수를 출력해 보겠습니다. printf("%d", num); printf 함수로 num값을 출력하기 위해 큰 따옴표 안에 %d를 작성했습니다. 코드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0 소수점 이하 두자리는 생략되고 0만 출력되었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럴까요? 전체 코드를 보면서 수정해 보겠습니다. float num; num = 0.25; printf("%d", num); 2. float형 int형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 2023. 4. 3.
C언어 %d에 대해서 공부하자! - printf함수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printf 함수에서 활용하는 %d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C언어를 처음 공부할 때 가장 많이 해보는 것이 바로 printf함수로 문자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콤마 안에 출력할 문자를 작성해서 그대로 출력하기도 하고,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기도 합니다. printf 함수는 아래와 같이 활용합니다. int num = 100; printf("안녕하세요!\n"); printf("오늘도 %d점!", num); 첫 번째 printf 함수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고, 두번째는 '%d'를 활용해서 해당 자리에 num의 값을 출력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d'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d'가 무엇일까? printf 함수는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 2023. 3. 30.
C언어 이중 배열을 공부하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배열(Array)에 대해서 공부하고, 비슷한 성격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배열을 활용했습니다. 저장할 데이터의 개수만큼 변수를 생성해서 저장하는 방법도 있지만, 배열을 활용하면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열은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 int arr[3] = {1, 2, 3}; 저장할 데이터에 따라서 자료형을 결정하고, 배열 이름을 설정한 뒤 괄호 안에 배열의 크기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는 콤마를 기준으로 한 개씩 작성해 줍니다. 이처럼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배열이 여러 개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rr1, arr2, arr3 이렇게 여러 개.. 2023. 3. 28.
C언어 배열(Array)을 공부하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월드입니다! 오늘은 C언어의 배열(Array)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배열을 공부하기 전에 먼저 변수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변수를 생성할 때에는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 지에 따라서 자료형을 결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변수 이름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게 됩니다. 그런데 비슷한 성격의 변수를 여러 개 생성할 때에는 변수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예시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int num1 = 1; int num2 = 2; int num3 = 3; printf("%d", num1); printf("%d", num2); printf("%d", num3); int형 변수 num1, num2, n.. 2023.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