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intf11 C언어 printf로 배열 출력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C언어에는 배열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한 가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가 있다면,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는 배열을 활용합니다. 오늘은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배열 생성하기 우선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nt arr[10]; 배열은 변수 생성과 마찬가지고 저장할 데이터에 따라서 자료형을 결정합니다. 정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int형으로 생성했고, 배열 이름 arr뒤에는 배열의 길이를 생성했습니다. 그럼 이 배열은 길이가 10인 int형 배열입니다. arr[0] = 1; arr[1] = 2; arr[2] = 3; 배열 arr에 데이터를 저장했습니다. arr의 0번째는 가장 앞에 있는 인덱스를 의미합니다.. 2023. 4. 11. C언어 %d에 대해서 공부하자! - printf함수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printf 함수에서 활용하는 %d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C언어를 처음 공부할 때 가장 많이 해보는 것이 바로 printf함수로 문자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콤마 안에 출력할 문자를 작성해서 그대로 출력하기도 하고,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기도 합니다. printf 함수는 아래와 같이 활용합니다. int num = 100; printf("안녕하세요!\n"); printf("오늘도 %d점!", num); 첫 번째 printf 함수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하고, 두번째는 '%d'를 활용해서 해당 자리에 num의 값을 출력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d'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d'가 무엇일까? printf 함수는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 2023. 3. 30. C언어 scanf로 입력을 받아보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C언어에는 scanf 함수가 있습니다. 문자나 숫자를 입력받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오늘은 scanf 함수 문법을 공부하고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canf 문법 scanf 함수는 입력 받을 데이터의 자료형과 입력 받을 데이터를 저장할 변수를 포함해서 코드를 작성합니다. scanf("%d", &num); scanf는 입력을 받기 위해 활용하는 함수임을 아니 괄호 안의 내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d"는 입력 받을 데이터의 자료형을 알아야 작성할 수 있는 코드입니다. d를 작성했다면 정수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소수점이 없는 정수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d"처럼 작성합니다! 그리고 &num은 입력 받은 데이터를 num의 주소값에 .. 2023. 3. 13. C언어 printf 함수로 출력을 해보자!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C언어를 배우면서 가장 먼저 공부하게 되는 함수가 바로 'printf'함수일 것입니다. printf 함수는 문자나 숫자를 출력하는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출력할 때 활용하는 것이 바로 'printf'입니다. 그럼 오늘은 이 함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고, 직접 코드를 구현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printf 문법 공부하기! printf 함수는 괄호 안에 큰 따옴표를 작성하고, 그 안에 출력할 문자나 숫자를 작성해주면 됩니다! printf("안녕하세요!"); 코드 실행 결과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안녕하세요! 2. printf 활용하기! 숫자 데이터도 포함해서 출력 가능합니다. printf("컴퓨터 공학과 1학년입니다!"); 컴퓨.. 2023. 3.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