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42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같은 코드를 여러 번 반복하는 구문이 있다면, 매번 작성하는 것은 비효율 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복문'이라는 것을 작성해서 비슷하거나 같은 코드는 짧게 몇 문장으로 정리하곤 합니다. 오늘은 for문이라는 반복문을 공부해보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for문의 형태 for i in range(0, 10): print(i) 매우 간단한 for문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for문은 위처럼 'for'라는 단어를 먼저 쓰고 반복한 변수를 작성해줍니다. 그리고 in range 뒤의 괄호 안에는 반복 범위를 작성해 줍니다. 괄호 안에 0, 10을 작성해 주었는데요, 이것은 0부터 9까지를 의미합니다. 만약 0, 11을 작성한다면 0부터 10까지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위의.. 2023. 1. 19. 파이썬 문자열 길이 구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문자열은 변수에 큰 따옴표를 활용해서 저장해주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그럼 그 인덱스를 통해서 첫 번째 문자부터 마지막 문자까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자열을 활용하는 방법과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문자열 생성하는 방법 str = "string 생성하기" print(str[0]) print(str[2]) print(str[7]) 변수 str을 생성하고 큰 따옴표에 저장할 문자열을 저장했습니다. 각 문자는 인덱스를 갖고 있고, print문을 통해서 인덱스로 접근한 문자를 출력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 print문은 str의 0번째 문자를 출력하므로 's'가 출력됩니다. 두 번째 print문은 'r', 세 번째 print문은 '생'을 출력.. 2023. 1. 18. 파이썬 딕셔너리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파이썬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개의 변수에 저장해서 활용하기 위해 리스트나 튜플 같은 자료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내용은 이런 자료형처럼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하고 관리하지만, 데이터에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는 '딕셔너리'에 대한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딕셔너리의 형태와 활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딕셔너리가 무엇일까? 딕셔너리란 데이터를 key와 value 관계로 짝을 지어서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key를 통해서 value 값을 호출하는 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C언어의 배열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배열은 인덱스로만 호출할 수 있다면 딕셔너리는 인덱스가 아닌 해당 데이터의 이름을 설정.. 2023. 1. 17. 파이썬 튜플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파이썬에는 튜플이라는 자료형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고 인덱스를 통해서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이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튜플의 특징을 공부하고 튜플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튜플이 무엇일까? 튜플은 리스트처럼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고 인덱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다시 호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서 리스트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A = [1, 2, 3] B = (1, 2, 3) A는 리스트이고 B는 튜플입니다. 튜플이 리스트와 다른 점은 대괄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것입니다. 이 둘의 공통점은 컴마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한다는 것과 인덱스를 통해서 호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 튜플.. 2023. 1. 1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