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22

파이썬 리스트와 튜플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형인 리스트와 튜플을 공부하고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와 튜플 리스트와 튜플은 모두 데이터를 한 개의 변수 안에 여러 개 담기 위해서 활용하는 자료형입니다. strlist = ["a", "b", "c"] strtuple = ("a", "b", "c") 리스트와 튜플을 한 가지씩 만들어 보았습니다. 우선 형태는 괄호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콤마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저장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2.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 리스트는 데이터의 저장과 삭제가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튜플은 수정이 어렵습니다. str1 = [1, 2, 3] str1.append(1) print(str1) 리스트를 생성하고 append를 통해서 1을 s.. 2023. 1. 31.
파이썬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의 길이 구하기 길이를 구하기 전 리스트를 먼저 하나 생성해 보겠습니다. arr = [1, 2, 3, 4, 5] 괄호 안에 다섯개의 숫자를 저장했습니다. 리스트에는 5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길이 또한 5개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리스트의 길이가 길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럴 때는 길이를 구하는 함수를 활용하면 됩니다. 2. len 함수 활용하기 arr = [1, 2, 3, 4, 5] print(len(arr)) 리스트 arr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 len의 뒤에 있는 괄호 안에 arr을 작성하고 print함수로 출력해 보았습니다. 출력 결과 5가 출력됩니다. 리스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le.. 2023. 1. 30.
파이썬 for문 반복문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같은 코드를 여러 번 반복하는 구문이 있다면, 매번 작성하는 것은 비효율 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복문'이라는 것을 작성해서 비슷하거나 같은 코드는 짧게 몇 문장으로 정리하곤 합니다. 오늘은 for문이라는 반복문을 공부해보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for문의 형태 for i in range(0, 10): print(i) 매우 간단한 for문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for문은 위처럼 'for'라는 단어를 먼저 쓰고 반복한 변수를 작성해줍니다. 그리고 in range 뒤의 괄호 안에는 반복 범위를 작성해 줍니다. 괄호 안에 0, 10을 작성해 주었는데요, 이것은 0부터 9까지를 의미합니다. 만약 0, 11을 작성한다면 0부터 10까지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위의.. 2023. 1. 19.
파이썬 문자열 길이 구하기 안녕하세요 판타지코딩입니다! 문자열은 변수에 큰 따옴표를 활용해서 저장해주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그럼 그 인덱스를 통해서 첫 번째 문자부터 마지막 문자까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문자열을 활용하는 방법과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 문자열 생성하는 방법 str = "string 생성하기" print(str[0]) print(str[2]) print(str[7]) 변수 str을 생성하고 큰 따옴표에 저장할 문자열을 저장했습니다. 각 문자는 인덱스를 갖고 있고, print문을 통해서 인덱스로 접근한 문자를 출력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 print문은 str의 0번째 문자를 출력하므로 's'가 출력됩니다. 두 번째 print문은 'r', 세 번째 print문은 '생'을 출력.. 2023. 1. 18.
반응형